당 지도부와 소장파간 대립조짐을 보였던 한나라당내 임시 전당대회 논란이 외견상으론 수그러드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최병렬(崔秉烈) 대표가 자신의 거취에 대한 약속 이행을 재다짐하는 등 지도부가 소장파 등의 반발기류를 의식, 탄핵정국을 이용한 전대 무산은 없을 것이란 입장을 잇따라 밝혔기 때문이다. 최 대표는 15일 오
마지노게임 전 상임운영위원회의에서 "내가 요구한 것과 설혹 맞지 않더라도 전대개최 여부에 관계없이 제 거취에 관해선 이미 얘기한 대로 분명히 할 것"이라며 "전대가 언제 열릴지 모를 상황이 되면 당초 약속대로 18일 당헌.당규에 따라 내 권한을 넘길 것"이라고 밝혔다. 탄핵정국 등 당 안팎의 상황 때문에 임시전대 개최가 불투명해질 경우 당초 약속대로 18일 대표직을 사퇴하겠다는 것이다. 최 대표는 다만 "18일 이후 가까운 시일내에 전대가 열린다면 애초 얘기한 대로당이 변화하는 모습이 만족스럽지 않더라도 전대에서 자연스럽게 (당권을) 넘기는게 옳다고 생각한다"고 말해 '단기간은' 대표직을 유지할 수도 있음을 강조했다. 최 대표가 자신의 거취문제를 공개석상에서 다시 언급한 것은 탄핵정국 직후 전대 연기가 결정된데 이어 당내에서 자신의 뜻과 무관하게 '전대무용론'까지 확산되면서 "현체제 연장을 위한 음모 아니냐"는 논란까지 불거지고 있는 상황을 심각하게인식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제2창당준비위원장인 이상득(李相得) 사무총장도 연합뉴스와 전화통화에서 "이미 당대표 후보등록까지 이뤄졌기 때문에 전대는 안 치를 수 없다"며 "전대를 열어야 한다는 당내 여론이 우세하다"고 말해 전대 개최를 기정사실화 했다. 이 총장은 또 탄핵정국 대처를 위한 비상대책위 구성에 대해서도 "예전의 비대위가 아니라 탄핵에 따른 법률지원 등 실무만 다루는 기구가 될 것"이라고 선을 그어 '비대위가 당운영 전반을 관장하는 것 아니냐'는 당 일각의 의구심을 해소하려했다. 지도부의 이같은 진화작업으로 상임운영위원회의에서는 전재희(全在姬) 의원만"탄핵문제로 임시 전대가 더 이상 연기돼선 안된다"고 말했을 뿐 전대문제를 둘러싼논란은 더이상 이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물밑에서는 여전히 전대무용론이 만만치않은 세를 얻고 있어 언제든 논란이 재연될 소지는 있다. 홍준표(洪準杓) 의원은 "전대에서 박근혜(朴槿惠) 권오을(權五乙) 박 진(朴 振)의원을 당대표로 뽑겠다고 전대를 한다면 과반수 출석이 안돼 성원조차 안 될 것"이라며 "지금같은 정국 상황에서 전대하자는 것은 정신나간 소리"라고 목청을 높였다. bhmoon@yna.co.kr (서울=연합뉴스) 문병훈기자
마지노게임 전 상임운영위원회의에서 "내가 요구한 것과 설혹 맞지 않더라도 전대개최 여부에 관계없이 제 거취에 관해선 이미 얘기한 대로 분명히 할 것"이라며 "전대가 언제 열릴지 모를 상황이 되면 당초 약속대로 18일 당헌.당규에 따라 내 권한을 넘길 것"이라고 밝혔다. 탄핵정국 등 당 안팎의 상황 때문에 임시전대 개최가 불투명해질 경우 당초 약속대로 18일 대표직을 사퇴하겠다는 것이다. 최 대표는 다만 "18일 이후 가까운 시일내에 전대가 열린다면 애초 얘기한 대로당이 변화하는 모습이 만족스럽지 않더라도 전대에서 자연스럽게 (당권을) 넘기는게 옳다고 생각한다"고 말해 '단기간은' 대표직을 유지할 수도 있음을 강조했다. 최 대표가 자신의 거취문제를 공개석상에서 다시 언급한 것은 탄핵정국 직후 전대 연기가 결정된데 이어 당내에서 자신의 뜻과 무관하게 '전대무용론'까지 확산되면서 "현체제 연장을 위한 음모 아니냐"는 논란까지 불거지고 있는 상황을 심각하게인식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제2창당준비위원장인 이상득(李相得) 사무총장도 연합뉴스와 전화통화에서 "이미 당대표 후보등록까지 이뤄졌기 때문에 전대는 안 치를 수 없다"며 "전대를 열어야 한다는 당내 여론이 우세하다"고 말해 전대 개최를 기정사실화 했다. 이 총장은 또 탄핵정국 대처를 위한 비상대책위 구성에 대해서도 "예전의 비대위가 아니라 탄핵에 따른 법률지원 등 실무만 다루는 기구가 될 것"이라고 선을 그어 '비대위가 당운영 전반을 관장하는 것 아니냐'는 당 일각의 의구심을 해소하려했다. 지도부의 이같은 진화작업으로 상임운영위원회의에서는 전재희(全在姬) 의원만"탄핵문제로 임시 전대가 더 이상 연기돼선 안된다"고 말했을 뿐 전대문제를 둘러싼논란은 더이상 이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물밑에서는 여전히 전대무용론이 만만치않은 세를 얻고 있어 언제든 논란이 재연될 소지는 있다. 홍준표(洪準杓) 의원은 "전대에서 박근혜(朴槿惠) 권오을(權五乙) 박 진(朴 振)의원을 당대표로 뽑겠다고 전대를 한다면 과반수 출석이 안돼 성원조차 안 될 것"이라며 "지금같은 정국 상황에서 전대하자는 것은 정신나간 소리"라고 목청을 높였다. bhmoon@yna.co.kr (서울=연합뉴스) 문병훈기자